주거환경학과 | 전화 : 063 - 270 - 3632 홈페이지 주소 : https://housing.jbnu.ac.kr |
우리 학부(과) 교육 목표
주거환경학과는 친환경 주거문화 및 인테리어를 선도하는 관점에서 공간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탐구하고, 이를 위한 주거공간 계획 및 시공, 그리고 친환경 인테리어자재 개발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주거공간 계획 및 시공 교육에서는 인간과 생활중심의 주거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이론과 실습 훈련, 현장 경험의 교육을 통해 한국인의 생활문화가 지속되는 공간 창조에 기여하는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한다. 친환경 인테리어자재 개발 및 응용 교육에서는 친환경 주거를 구성하는 주요 재료인 목재와 목질 재료에 대한 개발 및 이를 응용한 목조건축물의 설계부터 시공까지의 one-stop 교육을 통해 졸업과 동시에 실무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한 현장중심형 인재를 양성한다.
우리 학부(과) 소개
주거환경학과는 2008년 신설된 학과로써 인간과 환경 중심의 21세기 주거 공간을 만들어나가는 데 필요한 전문지식을 다루는 학과이다. 집이라고 하는 일차적인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미래지향적이면서도 문화와 자연이 지속하는 생활공간을 디자인하고 관리하며, 목재를 응용한 친환경 소재의 개발 및 시공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아가는 학과이다. 주거환경학과에는 6명의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은 각 교수님의 전공 영역이다.
- 박선희교수 : 주거문화및디자인전공
- 박희준교수 : 목질재료과학전공
- 정인수교수 : 주거환경및보존전공
- 강춘원교수 : 주거재료물성전공
- 최병숙교수 : 주거계획전공
우리 학부(과)에서는 무엇을 배우는가?
인간이 생활하는 주거공간을 이해하기 위한 전반적인 개념과 원리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인 주거학, 주거문화, 실내디자인 등을 배우고 공간을 표현하는 방법의 제도, 스케치, 캐드 등 실습 과목을 배운다. 여러 유형의 주택 및 상업공간을 대상으로 기초 이론의 전문지식을 응용한 설계나 효율적이고 심미적인 공간을 창출하는 인테리어를 훈련하는 실습 과목을 배운다. 그럼으로써 공간을 디자인하는 능력을 키워나간다. 친환경 인테리어를 구성하는 재료인 목재의 기본적 성질과 응용에 관련된 기본 과목들과 DIY시대에 적합한 가구 제작 및 설계 부분에 필요한 부분을 폭넓은 실험 실습을 통해 배우게 된다. 또한 목조건축의 설계와 시공에 관하여 구조설계와 축소 모형을 제작하며 이를 통해 필요한 전문이론과 기술을 배우고 건축물의 유지ㆍ보수에 필요한 과목들을 배우게 된다.
우리 학부(과)의 특징‧자랑
주거환경학과의 전공 관련 취업을 위하여 해외 및 국내 현장실습강화, 전문가 초청특강, 고건축물 및 현대 건축물 현장답사 등 전공심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역량을 강화하기위해 교과목별 포트폴리오 제작을 통해 보강내용을 파악하고 있으며, 이론과 실무적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학생 맞춤형 집중교육으로 전공에서 요구되는 기초적인 공간표현 능력 훈련을 위한 스케치특강, 설계 및 디자인을 위한 3D Max, 스케치업 특강, 전공 관련 시설 및 박람회 견학, 전공 관련 현장 실무자의 특강으로 전공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개인역량을 강화시키고 있다. 한편, 주거환경학과 교수진의 연구능력이 탁월하여 정부 및 연구기관, 국내외 대학교와 지속적으로 연구교류를 함으로써 뛰어난 연구업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우리학과에서는 사회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훈련하기 위해 설계CAD실, 주택계획실습실, 실내디자인실습실, 가구 및 모형제작 실습실, 공간디자인실, 주거음향실험실, 소재과학실험실, 환경보존실험실, 목구조실험실 등의 실습실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학부(과)를 졸업하면 어떠한 일을 하게 되는가?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는 주택건설 및 인테리어디자인, 공간시설 및 설비 전반 분야에서 공간을 계획하거나, 평가하는 전문가 및 인테리어디자이너로 취업이 가능하다. 친환경 재료를 대표하는 목재 및 목재 응용 산업 전반에 걸쳐 취업이 가능하다. 특히 웰빙 시대에 최적의 주거 형태로 각광받고 있는 목조건축의 설계 및 시공 관련 회사에 취업이 가능하며 가구 회사 역시 설계 및 제작 부분에서 취업이 가능하다. 또한 목조 건축과 가구의 재료가 되는 목재 및 목질 재료 개발 및 시공 회사 전반에 걸쳐 취업이 가능하다. 도시주택연구원 및 국립 산림과학원 등의 연구소로의 취업이 가능하며, 해외 임지 개발 회사나 건설 및 목재 관련 대기업의 해외 법인체에 국내를 대표하는 관리자나 디자이너로 파견 근무가 가능하다는 특징도 있다. 실내디자인 및 목조건축이나 가구 분야는 프리랜서로의 활동 역시 적합한 분야이다. 2010년에는 석사과정, 2012년에는 박사과정 대학원을 신설하여 전공 관련 공부를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게 대학원 진학도 가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