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학과(Dept. of Human Ecology)
1. 학과개요 및 교육목표
대학원 생활과학과의 식품영양학전공(임상영양사과정), 아동·가족학전공, 의류학전공으로 나뉘어진다.
식품영양학전공은 세부적으로 영양학, 영양생화학, 영양교육, 임상영양학, 조리과학, 기능성식품 및 분자생물학, 식품분석학, 감각공학 및 향미화학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인간의 건강 및 영양 개선을 통해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학문연구와 그의 실천 및 응용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폭넓은 전인교육과 전문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실현은물론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켜 국가의 풍요로운 번영을 이끌며, 나아가 인류 공영에 기여하는 세계인의 자질과 정신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동·가족학 전공은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아동과 가족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고, 아동을 둘러싼 환경의 질적 수준을 높이며, 가족 및 기타 대인관계 증진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는 다학제적 학문이다. 본 전공은 개인과 가족, 사회의 건강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그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영·유아기를 중심으로 한 전생애주기 발달 특성, 가족과 기타 사회·환경적 맥락이 개인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상호작용, 개인 및 가족의 행복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영·유아 보육, 아동복지 및 상담, 가족생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아동가족학 전공은 2016학년도부터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과 2017학년도부터 아동가족학과 박사과정(학과간협동과정)으로 분리됨.)
의류학전공은 인간의 삶의 양식을 그대로 드러내는 매개체인 의복을 인간 생태학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인간의 행복한 의생활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섬유를 가공하여 패션상품을 기획, 생산하고 소비자가 그 패션상품을 사용한 후 폐기하기까지의 전과정에 대한 전문 교육을 통하여, 의류학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고 섬유 및 의류 산업에 적용 가능한 지식을 탐구한다. 의류학전공에서 수학할 수 있는 세부전공으로는 서양복식사, 의복구성, 패션디자인, 패션상품학, 한국복식이 있다.
2. 설치과정
석사학위과정, 박사학위과정
3. 교수진 및 전공분야
식품영양학 전공 | 교수 | 차연수 | 영양생화학 | 이학박사 |
---|---|---|---|---|
교수 | 김숙배 | 영양생리학및영양교육 | 이학박사 | |
교수 | 노정옥 | 단체급식 | 이학박사 | |
교수 | 백상호 | 기능성식품분자생물학 | 농학박사 | |
교수 | 정현아 | 식품영양분석학 | 이학박사 | |
교수 | 김미나경민 | 감각공학 및 향미화학 | 이학박사 | |
조교수 | 한안나 | 분자대사영양학 | 이학박사 | |
아동가족학 전공 | 교수 | 이영환 | 아동발달 및 보육 | 가정학박사 |
교수 | 정혜정 | 가족상담 및 교육 | 철학박사 | |
교수 | 이진숙 | 아동복지 및 상담 | 이학박사 | |
부교수 | 정유진 | 가족관계 | 철학박사 | |
부교수 | 김리진 | 아동상담 및 놀이치료 | 이학박사 | |
의류학 전공 | 교수 | 이효진 | 서양복식사 및 구성 | 이학박사 |
교수 | 염혜정 | 패션디자인 | 피복학박사 | |
부교수 | 심수인 | 패션상품학 | 이학박사 | |
조교수 | 김순영 | 한국복식 | 이학박사 |
4. 교과과정
학수구분 | 과목명 | 학점 | 강의 | 실습 |
---|---|---|---|---|
전공 | 가정학세미나(Seminar in Home Economics) | 3 | 3 | 0 |
전공 | 고급영양상담 및 교육(Advanced Nutritional Counseling and Education) | 3 | 3 | 0 |
전공 | 고급영양이론(Advanced Nutrition) | 3 | 3 | 0 |
전공 | 급식경영특론(Advanced Foodservice Management) | 3 | 3 | 0 |
전공 | 급식생산관리특론(Advanced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for Food service) | 3 | 3 | 0 |
전공 | 기능성식품학특론(Advanced Functional Foods) | 3 | 3 | 0 |
전공 | 무기질영양(Mineral Nutrition) | 3 | 3 | 0 |
전공 | 발효식품학특론(Advanced Fermented Foods) | 3 | 3 | 0 |
전공 | 병태생리학(Pathophysiology) | 3 | 3 | 0 |
전공 | 분자영양학특론(Advanced Molecular Nutrition) | 3 | 3 | 0 |
전공 | 비타민영양(Vitamin Nutrition) | 3 | 3 | 0 |
전공 | 생리활성물질특론(Nutraceuticals from natural products) | 3 | 3 | 0 |
전공 | 생애주기영양학특론(Advanced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 3 | 3 | 0 |
전공 | 생활습관영양학특론(Advanced Life-Style Nutrition) | 3 | 3 | 0 |
전공 | 식문화비교연구(Comparative Research on Culture and Diet) | 3 | 3 | 0 |
전공 | 식품관능검사및실험설계법(Sensory Evaluation of food and Experimental Design) | 3 | 3 | 0 |
전공 | 식품독성학(Introduction to food toxicology) | 3 | 3 | 0 |
전공 | 식품미생물학특론(Advanced Food Microbiology) | 3 | 3 | 0 |
전공 | 식품분자생물학특론(Advanced Food Molecular Biology) | 3 | 3 | 0 |
전공 | 식품성분반응특론(Interactions of food ingredients) | 3 | 3 | 0 |
전공 | 식품영양세미나(Seminar in Food and Nutrition) | 3 | 3 | 0 |
전공 | 식품조리과학특론(Advanced Food Science and Cookery) | 3 | 3 | 0 |
전공 | 식품천연물화학특론(Advances in natural chemicals) | 3 | 3 | 0 |
전공 | 식품학특론(Advances in food science) | 3 | 3 | 0 |
전공 | 식품효소화학특론(Advanced Enzyme Chemistry) | 3 | 3 | 0 |
전공 | 에너지대사학특론(Advanced Energy Metabolism) | 3 | 3 | 0 |
전공 | 영양과 노화(Nutrition and Aging) | 3 | 3 | 0 |
전공 | 영양과 만성질환(Nutrition and Chronic Diseases) | 3 | 3 | 0 |
전공 | 영양교육연구방법론(Research in Nutritional Education) | 3 | 3 | 0 |
전공 | 영양생화학특론(Advanced Nutritional Biochemistry) | 3 | 3 | 0 |
전공 | 임상영양실습Ⅰ(Clinical Nutrition PracticeⅠ) | 2 | 0 | 8 |
전공 | 임상영양실습Ⅱ(Clinical Nutrition PracticeⅡ | 2 | 0 | 8 |
전공 | 임상영양실습Ⅲ(Clinical Nutrition PracticeⅢ) | 2 | 0 | 8 |
전공 | 임상영양실습Ⅳ(Clinical Nutrition PracticeⅣ) | 2 | 0 | 8 |
전공 | 임상영양연구(Clinical Nutrition Research) | 2 | 2 | 0 |
전공 | 임상영양치료Ⅰ(Medical Nutrition TherapyⅠ) | 3 | 3 | 0 |
전공 | 임상영양치료Ⅱ(Medical Nutrition TherapyⅡ) | 3 | 3 | 0 |
학수구분 | 과목명 | 학점 | 강의 | 실습 |
---|---|---|---|---|
전공 | 가정학세미나(Seminar in Home Economics) | 3 | 3 | 0 |
전공 | 20세기이후 패션과 예술의 역사(History of Fashion and Art after 20th century) | 3 | 3 | 0 |
전공 | HauteCouture패션특론(Advanced Haute Couture Fashion) | 3 | 3 | 0 |
전공 | 글로벌패션산업특론(Special Issues in Global Fashion Business) | 3 | 3 | 0 |
전공 | 남성복테일러링(Men's Tailoring) | 3 | 3 | 0 |
전공 | 서양복식사연구(Studies on the History of Western Costume) | 3 | 3 | 0 |
전공 | 섬유신소재(New Materials in Textiles) | 3 | 3 | 0 |
전공 | 스트리트패션연구(Study on Street Fashion) | 3 | 3 | 0 |
전공 | 아시아복식문화사연구(Research on the History of Asian Dress) | 3 | 3 | 0 |
전공 | 의복감성공학특론(Advanced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for Clothing) | 3 | 3 | 0 |
전공 | 입체재단특론(Advanced Draping) | 3 | 3 | 0 |
전공 | 전통의상워크샵(Traditional Dress Workshop) | 3 | 3 | 0 |
전공 | 직물분해설계(Characterization of Yarns and Fabrics) | 3 | 3 | 0 |
전공 | 특수소재 패턴연구(Studies on Pattern for Special Fabrics) | 3 | 3 | 0 |
전공 | 패션디자인워크샵(Workshop in Fashion Design) | 3 | 3 | 0 |
전공 | 패션마케팅특론(Special Issues in Fashion Marketing) | 3 | 3 | 0 |
전공 | 패션머천다이징특론(Special Issues in Fashion Merchandising) | 3 | 3 | 0 |
전공 | 패션문화상품디자인특론(Advanced Fashion Cultural Goods) | 3 | 3 | 0 |
전공 | 패션미학연구(Aesthetic Research on Dress) | 3 | 3 | 0 |
전공 | 패션산업과 소비자이론(Consumer Theories in Fashion Business) | 3 | 3 | 0 |
전공 | 패션스타일링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 in Fashion Styling) | 3 | 3 | 0 |
전공 | 패션액세서리디자인특론 | 3 | 3 | 0 |
전공 | 패션유통관리특론(Special Issues in Fashion Retail Management) | 3 | 3 | 0 |
전공 | 패션조사연구방법론(Surveys of Fashion Research) | 3 | 3 | 0 |
전공 | 피복체형특론(Advanced Clothing Somatotype) | 3 | 3 | 0 |
전공 | 한국복식사특론(Special Topics in the History of Korean Dress) | 3 | 3 | 0 |
전공 | 한국의복구성특론(Advanced Korean Dress Construction) | 3 | 3 | 0 |
식품영양학과 (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1. 학과개요 및 교육목표
1. 학과개요 및 교육목표
2. 설치과정
3. 교수진 및 전공분야
교수 | 차연수 | 영양생화학 | 이학박사 |
---|---|---|---|
교수 | 김숙배 | 영양생리학 및 영양교육 | 이학박사 |
교수 | 노정옥 | 단체급식 | 이학박사 |
교수 | 백상호 | 기능성식품분자생물학 | 농학박사 |
교수 | 정현아 | 식품분석학 | 이학박사 |
교수 | 김미나경민 | 감각공학 및 향미화학 | 이학박사 |
조교수 | 한안나 | 분자대사영양학 | 이학박사 |
4. 교과과정
학수 구분 | 과목명(영문) | 학강실 점의험 |
---|---|---|
전공 | 고급영양상담 및 교육(Advanced Nutritional Counseling and Education) | 3-3-0 |
전공 | 고급영양이론(Advanced Nutrition) | 3-3-0 |
전공 | 급식경영 특론(Advanced Foodservice Management) | 3-3-0 |
전공 | 급식생산관리 특론(Advanced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for Foodservice) | 3-3-0 |
전공 | 기능성식품학특론(Advanced Functional Foods) | 3-3-0 |
전공 | 무기질영양(Mineral Nutrition) | 3-3-0 |
전공 | 발효식품학특론(Advanced Fermented Foods) | 3-3-0 |
전공 | 병태생리학(Pathophysiology) | 3-3-0 |
전공 | 분자영양학특론(Advanced Molecular Nutrition) | 3-3-0 |
전공 | 비타민영양(Vitamin Nutrition) | 3-3-0 |
전공 | 생리활성물질특론(Nutraceuticals from natural products) | 3-3-0 |
전공 | 생애주기영양학특론(Advanced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 3-3-0 |
전공 | 생활습관영양학특론(Advanced Life-Style Nutrition) | 3-3-0 |
전공 | 식문화비교연구(Comparative Research on Culture and Diet) | 3-3-0 |
전공 | 식품관능검사및실험설계법(Sensory Evaluation of food and Experimental Design) | 3-3-0 |
전공 | 식품독성학(Introduction to food toxicology) | 3-3-0 |
전공 | 식품미생물학특론(Advanced Food Microbiology) | 3-3-0 |
전공 | 식품분자생물학특론(Advanced Food Molecular Biology) | 3-3-0 |
전공 | 식품성분반응특론(Interactions of food ingredients) | 3-3-0 |
전공 | 식품영양세미나(Seminar in Food and Nutrition) | 3-3-0 |
전공 | 식품조리과학특론(Advanced Food Science and Cookery) | 3-3-0 |
전공 | 식품천연물화학특론(Advances in natural chemicals) | 3-3-0 |
전공 | 식품학특론(Advances in food science) | 3-3-0 |
전공 | 식품효소화학특론(Advanced Enzyme Chemistry) | 3-3-0 |
전공 | 에너지대사학특론(Advanced Energy Metabolism) | 3-3-0 |
전공 | 영양과 노화(Nutrition and Aging) | 3-3-0 |
전공 | 영양과 만성질환(Nutrition and Chronic Diseases) | 3-3-0 |
전공 | 영양교육연구방법론(Research in Nutritional Education) | 3-3-0 |
전공 | 영양생화학 특론(Advanced Nutritional Biochemistry) | 3-3-0 |
전공 | 임상영양실습Ⅰ(Clinical Nutrition PracticeⅠ) | 2-0-8 |
전공 | 임상영양실습Ⅱ(Clinical Nutrition PracticeⅡ) | 2-0-8 |
전공 | 임상영양실습Ⅲ(Clinical Nutrition PracticeⅢ) | 2-0-8 |
전공 | 임상영양실습Ⅳ(Clinical Nutrition PracticeⅣ) | 2-0-8 |
전공 | 임상영양연구(Clinical Nutrition Research) | 3-3-0 |
전공 | 임상영양치료Ⅰ(Medical Nutrition TherapyⅠ) | 3-3-0 |
전공 | 임상영양치료Ⅱ(Medical Nutrition TherapyⅡ) | 3-3-0 |
전공 | 식품향미분석특론(Advanced in Food Flavor Analysis) | 3-3-0 |
전공 | 향미화학특론(Advanced in Flavor chemistry) | 3-3-0 |
전공 | 식품 신제품개발 특론(New Food Product Development) | 3-3-0 |
전공 | 신제품개발과 창업(Product Development and Entrepreneurship) | 3-3-0 |
전공 | 감각공학 세미나(Seminar in Sensory Science) | 3-3-0 |
아동가족학과(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 학과개요 및 교육목표
2. 설치과정
3. 교수진 및 전공분야
교 수 | 이영환 | 아동발달 및 보육 | 가정학박사 |
---|---|---|---|
교 수 | 정혜정 | 가족상담 및 교육 | 철학박사 |
교 수 | 이진숙 | 아동복지 및 상담 | 이학박사 |
부 교 수 | 정유진 | 가족관계 | 철학박사 |
부 교 수 | 김리진 | 아동상담 및 놀이치료 | 이학박사 |
4.교과과정
학수구분 | 과 목 명 | 학점 | 강의 | 실습 |
---|---|---|---|---|
전공 | 가족과젠더연구(Special Topics in Families and Gender) | 3 | 3 | 0 |
전공 | 가족과지역사회(Families in Community) | 3 | 3 | 0 |
전공 | 가족관계세미나(Seminar in Family Relationships) | 3 | 3 | 0 |
전공 | 가족상담‧교육윤리세미나(Seminar in Ethics in Family Counseling and Education) | 3 | 3 | 0 |
전공 | 가족상담사례연구(Clinical Cases in Family Counseling) | 3 | 3 | 0 |
전공 | 가족상담실습과슈퍼비젼(Practicum and Supervision of Family Counseling) | 3 | 2 | 2 |
전공 | 가족상담이론(Theories of Family Counseling) | 3 | 3 | 0 |
전공 | 가족생활교육특론(Special Topics in Family Life Education) | 3 | 3 | 0 |
전공 | 가족학이론세미나(Theories of Family Studies) | 3 | 3 | 0 |
전공 | 건강가족정책세미나((Seminar in Policy for Healthy Family) | 3 | 3 | 0 |
전공 | 고급아동가족연구방법론(Advanced Research Methods in Child and Family Studies) | 3 | 3 | 0 |
전공 | 고급아동가족통계분석(Advanced Multivariate Statistics in Child and Family Studies) | 3 | 3 | 0 |
전공 | 고급아동놀이연구(Advanced Studies on Children's Play) | 3 | 3 | 0 |
전공 | 고급영유아인지언어발달 (Advanced Studies on Children’s Cognitive & Language Development) | 3 | 3 | 0 |
전공 | 고급정신건강세미나(Advanced Seminar in Mental Health) | 3 | 3 | 0 |
전공 | 놀이치료실습및슈퍼비전(Play Therapy Practicum and Supervision) | 3 | 3 | 0 |
전공 | 다문화가족상담세미나(Diversity and Family Counseling) | 3 | 3 | 0 |
전공 |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rapy) | 3 | 3 | 0 |
전공 | 모래놀이치료(Sandplay Therapy) | 3 | 3 | 0 |
전공 | 모래놀이치료실습및슈퍼비전(Sand Play Therapy Practicum and Supervision) | 3 | 3 | 0 |
전공 | 발달놀이치료(Developmental Paly Therapy) | 3 | 3 | 0 |
전공 | 보육의최근동향과쟁점(Recent Issues and Trends of Educare) | 3 | 3 | 0 |
전공 | 부모상담특론(Special Topics on Parent Counseling) | 3 | 3 | 0 |
전공 | 부모-자녀관계세미나(Seminar on Parent-Child Relationship) | 3 | 3 | 0 |
전공 | 부부상담세미나(Seminar in Couple Therapy) | 3 | 3 | 0 |
전공 | 분석심리이론과아동상담(Analytical Psychology Therapy & Child Counseling) | 3 | 3 | 0 |
전공 | 아동가족질적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Child and Family Studies) | 3 | 3 | 0 |
전공 | 아동과전통문화(Child & Traditional Culture) | 3 | 3 | 0 |
전공 | 아동과환경(Child & Environment) | 3 | 3 | 0 |
전공 | 아동관찰연구법(Observational Research Methods) | 3 | 3 | 0 |
전공 | 아동놀이이론및실제(Theory & Practice for Children’s Play) | 3 | 3 | 0 |
전공 | 아동발달특론(Theories of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 3 | 3 | 0 |
전공 | 아동상담이론및실제(Child Counseling Theory & Practice) | 3 | 3 | 0 |
전공 | 놀이치료관찰및실습Play Therapy Observation and Practicum) | 3 | 3 | 0 |
전공 | 아동심리평가(Child Psychological Assessment) | 3 | 3 | 0 |
전공 | 발달정신병리학(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3 | 3 | 0 |
전공 | 아동중심놀이치료(Play Therapy) | 3 | 3 | 0 |
전공 | 아버지의부모역할과아동발달(Father’s Parenting & Child Development) | 3 | 3 | 0 |
전공 | 애착연구(Attachment : Theory and Research) | 3 | 3 | 0 |
전공 | 영유아놀이진단및평가(Infant & Early Childhood Play Diagnosis and Assessment) | 3 | 3 | 0 |
전공 | 영유아발달및치료놀이(Infant & Early Childhood Development & Theraplay) | 3 | 3 | 0 |
전공 | 영유아보육교육연구세미나(Semina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3 | 3 | 0 |
전공 | 영유아비교문화연구(Comparative Studies i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 3 | 3 | 0 |
전공 | 영유아사회성교육론(Social Development Through Infancy to Childhood) | 3 | 3 | 0 |
전공 | 영유아인성발달과교육(Studies of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 Education) | 3 | 3 | 0 |
전공 | 영유아인지발달(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Infancy to Childhood) | 3 | 3 | 0 |
전공 | 유아창의성발달과교육(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 3 | 3 | 0 |
전공 | 이야기치료(Narrative Therapy) | 3 | 3 | 0 |
전공 | 인간발달과뇌(Human Development & Brain) | 3 | 3 | 0 |
전공 | 인지학습치료와사례분석(Cognitive Learning Therapy & Case Analysis) | 3 | 3 | 0 |
전공 |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 | 3 | 3 | 0 |
전공 | 일과가족(Work and Family) | 3 | 3 | 0 |
전공 | 중․노년기가족관계세미나(Seminar in Family Relations in Middle and Older Adulthood) | 3 | 3 | 0 |
전공 | 집단놀이치료세미나(Seminar in Group Play Therapy) | 3 | 3 | 0 |
전공 | 청소년과가족상담세미나(Seminar in Family Counseling with Adolescents) | 3 | 3 | 0 |
전공 | 해결중심가족상담(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 3 | 3 | 0 |
주거환경학과 (Dept. of Housing Environmental Design)
1. 학과개요 및 교육목표
2. 설치과정
3. 교수진 및 전공분야
교 수 | 박선희 | 주거문화및디자인 | 가정학박사 |
---|---|---|---|
교 수 | 박희준 | 목질재료과학 | 농학박사 |
교 수 | 정인수 | 주거환경및보존 | 농학박사 |
교 수 | 강춘원 | 주거재료물성 | 농학박사 |
교 수 | 최병숙 | 주거계획 | 이학박사 |
4.교과과정
학수구분 | 과 목 명 | 학점 | 강의 | 실습 |
---|---|---|---|---|
전공 | 공간디자인특론(Advanced Spatial Design) | 3 | 3 | 0 |
전공 | 공간마케팅과인테리어(Space Marketing in Housing & Interior Design) | 3 | 3 | 0 |
전공 | 공동주거연구(Multi-family Housing Study) | 3 | 3 | 0 |
전공 | 노인주거연구(Study on Silver Dwellings) | 3 | 3 | 0 |
전공 | 도시및농촌주거환경연구(Study on Urban & Rural Housing Environment) | 3 | 3 | 0 |
전공 | 도장론(Advanced studies of finishings) | 3 | 3 | 0 |
전공 | 목재조직과인테리어연구(Study on Wood Anatomy and Interior Design) | 3 | 3 | 0 |
전공 | 목조문화재학(Advanced studies of wooden cultural assets) | 3 | 3 | 0 |
전공 | 목질재료특강(Topics in Wood Based Materials) | 3 | 3 | 0 |
전공 | 비교주거론(Comparative Studies of Housing Theory) | 3 | 3 | 0 |
전공 | 수치해석특론(Advanced Numerical Analysis) | 3 | 3 | 0 |
전공 | 시설주거평가론(POE of Planned Housing for Special Groups) | 3 | 3 | 0 |
전공 | 실내공기질분석(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 3 | 3 | 0 |
전공 | 실내디자인세미나(Special Topics in Interior Design Research) | 3 | 3 | 0 |
전공 | 실내온열환경분석(Analysis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 3 | 3 | 0 |
전공 | 실내환경특론(Advanced Indoor Environment) | 3 | 3 | 0 |
전공 | 인간공학과주거특론(Advanced Human Engineering and Housing) | 3 | 3 | 0 |
전공 | 재질개량특강(Topics in Modified Wood 1) | 3 | 3 | 0 |
전공 | 재질개량특강2(Topics in Modified Wood 2) | 3 | 3 | 0 |
전공 | 전통목구조(Traditional Wooden Frame Building) | 3 | 3 | 0 |
전공 | 접착론(Advanced studies of Adhesion) | 3 | 3 | 0 |
전공 | 조명디자인연구(Study on lighting design) | 3 | 3 | 0 |
전공 | 주거복지특론(Housing Welfare) | 3 | 3 | 0 |
전공 | 주거사회학특수과제(Special Topic on Housing Sociology) | 3 | 3 | 0 |
전공 | 주거세미나(Housing Seminar) | 3 | 3 | 0 |
전공 | 주거음향연구(Study on Housing Acoustics) | 3 | 3 | 0 |
전공 | 주거재료역학특론(Advanced Housing Material Mechanics) | 3 | 3 | 0 |
전공 | 주거재료열화특론(Advanced Degradation of Housing Materials) | 3 | 3 | 0 |
전공 | 주거정책및제도론(Housing Policy and System) | 3 | 3 | 0 |
전공 | 주거환경시스템연구(Study on Housing Environment system) | 3 | 3 | 0 |
전공 | 주거환경시스템연구2(Study on Housing Environment system 2) | 3 | 3 | 0 |
전공 | 주거환경심리론(Environmental Psychology and Behavior in Housing) | 3 | 3 | 0 |
전공 | 주거환경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Housing Environment) | 3 | 3 | 0 |
전공 | 주거환경평가방법론(Survey Method in Housing & Interior Design) | 3 | 3 | 0 |
전공 | 집성재론(Advanced studies of glued laminated timber) | 3 | 3 | 0 |
전공 | 친환경건축론(Advanced studies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 3 | 3 | 0 |
전공 | 친환경건축시공학특론(Advanced Studies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construction) | 3 | 3 | 0 |
전공 | 친환경건축재료학특론(Advanced Studies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materials ) | 3 | 3 | 0 |
전공 | 친환경목질재료특강(Topics in Eco-wood Based Materials) | 3 | 3 | 0 |
전공 | 친환경소재및공간연구(Study on the Healthy Spatial Design) | 3 | 3 | 0 |
전공 | 친환경음향재료연구(Study on Acoustic Eco-friendly Materials) | 3 | 3 | 0 |
전공 | 친환경인테리어연구(Study on the Healthy Spatial Design) | 3 | 3 | 0 |
전공 | 친환경주거특론(Advanced Healthy Housing) | 3 | 3 | 0 |
전공 | 커뮤니티와마을만들기(Comunity and Village Design) | 3 | 3 | 0 |
전공 | 특수목조론(Advanced studies of special wooden frame building) | 3 | 3 | 0 |
전공 | 한국전통주거특론(Advanced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 3 | 3 | 0 |
전공 | 한국형도시한옥연구(Korean Urban Housing for Hanok) | 3 | 3 | 0 |
전공 | 현대주거계획특론(Advanced Modern Housing Design) | 3 | 3 | 0 |
전공 | 현대주거설계분석(Contemporary Housing Design Analysis) | 3 | 3 | 0 |
전공 | 환경재료보존특론(Advance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Materials) | 3 | 3 | 0 |